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컴퓨터/애드센스 - 승인까지

애드센스 도전기 (4) 웹마스터도구에 대해

by 생각사람 2021. 1. 21.

아직 애드센스에서는 아무 소식도 없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뭐를 혹시 안 한 것이 있나 생각해보다가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 이미 구글 서치 콘솔에는 등록해둔 상태의 블로그이지만 아무래도 한글로 작성한 블로그이고 그렇다면 잘 노출되어 많은 사람들이 제 블로그를 보게 하려면 네이버라는 거대한 검색엔진을 무시할 수가 없어서 (왜인지는 모르지만 블로그 방문 경로를 쭉 보면 다음에는 웹마스터 도구 사용하여 등록을 따로 하지 않아도 검색이 잘 되는 것인지 구글을 통해서 들어오는 경우보다 훨씬 더 많더라구요.), 그리고 네이버를 통한 유입이 현재 0인 상태이기 때문에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는 것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웹마스터도구라는 것은 제가 보니 특별한 것은 없습니다. 대강의 이 블로그의 구조를 알려주는 스크립트(sitemap.xml로 대변되는)의 주소를 알려주고 RSS feed에 대한 정보를 얼추 주면 나머지는 다 네이버가 알아서 제 글과 관련한 단어를 누군가가 검색했을 때 적절한 검색결과로써 노출해줄 수 있도록 합니다. 이건 구글 서치콘솔도 마찬가지입니다.

 

저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처음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하였을 때에는 사이트맵을 생성하도록 선택해서 주소를 입력하는 방식이었는데, 공지사항을 보니 2020년 4월부터 자동으로 사이트맵이 생성된다고 해요. 그러니 따로 만들지 않아도,

http://(블로그별명).tistory.com/sitemap.xml

이 여러분의 티스토리 블로그의 사이트맵이 됩니다.

 

그 다음에 RSS feed 주소가 필요하다고 했었죠? 이건

http://(블로그별명).tistory.com/rss

가 됩니다. 여기서 주의하셔야 하는 것은, RSS feed의 주소는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이 맞지만 RSS를 공개설정해두어야 의미가 있습니다. 비공개로 설정해두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의 웹마스터도구가 활용할 수가 없겠지요. 물론 개수를 제한해둔다든가 하는 식의 설정은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이제 등록 준비는 다 하신 겁니다.

  1. 네이버에 로그인합니다.
  2. https://searchadvisor.naver.com에 접속합니다.
  3. 우측 상단의 웹마스터도구를 클릭합니다.
  4. 사이트 등록을 위해 사이트주소 입력란에 여러분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5. 소유권 확인은 구글 애드센스 신청 시와 동일합니다. 티스토리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서 스킨편집 > html 편집 메뉴로 들어가시고, <head>와 </head> 사이에 소유권 확인을 위해 필요한 메타 태그를 입력해주세요.
  6. 소유권 확인을 눌러주시면 확인이 완료됩니다.
  7. 이후, 등록된 블로그의 주소를 누르시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고 왼쪽의 요청 메뉴에서 각각 RSS, 사이트맵을 클릭하여 위에서 확인하였던 주소를 그대로 입력해주면 됩니다.
  8. 몇 일이든 기다리면 됩니다. 사이트맵으로 구조를 알려주고 RSS feed를 제공하면 네이버 웹마스터도구가 알아서 크롤링 해서 정보를 모으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들의 검색결과에 우리의 블로그 글을 띄워주게 됩니다.

사실상 구글 서치콘솔과 동일합니다. 이제 우리의 블로그 글이 더욱 검색결과에 잘 노출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을 마무리한 것입니다. 이제는 제가 양질의 글을 많이 작성하고 애드센스님께서 저를 허락해주시기만 하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