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파생상품 입문16

옵션거래 기본전략(3) 헤지거래 등 이번에는 옵션거래에서 헤지거래와 차익거래를 위한 전략들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다루겠습니다. 아무래도 저같은 개인투자자는 현물시장, 특히 주식시장에 관심과 돈이 쏠려 있고 위험천만한 옵션 투기거래를 할 경제적 여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옵션거래를 한다면 현실적으로 주식시장에서 제가 갖고 있는 포지션을 보호하거나 안전하게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법에 더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럴 때에 헤지거래, 차익거래를 위해 사용하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1) 헤지거래(Hedging) 보험을 든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물론 제 기대대로 주식시장이 올라주면 제일 이상적이지만 수익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거나 오히려 손실을 보게될 것이 우려된다면 그 위험도를 줄이기 위해 헤징을 할.. 2020. 8. 13.
옵션거래 기본전략(2) 합성포지션 이전 글에 이어서 옵션투자전략을 다루겠습니다. 이번부터는 조금 더 복잡해져서 옵션의 '합성'을 거래하는 전략을 공부했습니다. 앞선 글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꼭 손익그래프를 직접 그려보셔야 합니다. 합성포지션 거래는 각 포지션(옵션의 매수/매도)의 손익그래프를 합한 것에 불과합니다. 2) 스프레드 거래 이제부터 합성을 시작합니다. 일반 개인투자자가 굳이 안 하려고 하고 잘 모를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이 옵션들의 합성을 거래하는 것이지 않을까 합니다. 뭐, 기대수익이 그만큼 제한적이라서 그런 부분도 있긴 합니다만 위험성이 훨씬 낮아지기 때문에 합성을 어느 정도는 해주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스프레드 거래에는 만기, 행사가격을 어떻게 두느냐에 따라 2가지로 크게 나뉩니다.수직적 스프레드(Vertical .. 2020. 7. 13.
옵션의 종류-유형, 가격별 이전에 옵션의 개요를 다룰 때 다음 글에서 옵션의 종류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겠다고 하고 이제 글을 씁니다. 1) 옵션의 종류: 유형별 옵션의 종류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미국형 옵션(American option)과 유럽형 옵션(European option)인데요. 여기에 버뮤다 옵션(Bermuda option)이라는 짬뽕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미국형 옵션: 만기는 정해져 있습니다. 그러나 권리는 보유 기간 중 언제든지 행사 가능합니다. 즉, 언제까지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지는 만기로써 정해져 있으나 산 날로부터 만기 이전까지 언제든 권리행사하여 이득을 취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이렇듯 권한이 더 많으므로 뒤의 유럽형 옵션보다는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습니다.유럽형 옵션: 한국의 옵션은 유럽형 .. 2020. 7. 11.
옵션거래 기본전략(1) 옵션은 선물이랑 다르게 제가 해볼 수 있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있습니다. 왜냐면 가격도 비교적 싸고 콜/풋이라는 2가지를 매수/매도 할 수 있어서 (물론, 저는 매도할 생각은 없습니다. 너무 위험해요.) 기본적으로 투기거래만 해도 4가지 방법이 가능하니까요. 프리미엄가격은 0원이 될 수 있으므로 위험성은 훨씬 높지만, 안전장치로써 생각을 하고 현물시장 커버를 위해 투자를 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대박 날 일은 역시 드물겠지만 어차피 살 것 비싼 복권처럼 사둔다고 생각하면 그렇게 나쁘지만도 않은 것 같습니다. 선물과는 다르게 옵션은 우리가 흔히 금융공학 관련 다큐멘터리나 기사글에서 볼 수 있듯 수학이 많이 들어갑니다. 옵션의 이론가를 계산하는 데에 쓰이는 데에 기본적인 블랙-숄즈 공식 (Black-Sch.. 2020. 7. 10.
선물거래 기본전략 선물/옵션의 개념 내용은 이제 끝났고 본격적으로 선물을 어떻게 거래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 사전교육 때 나왔습니다. 옵션거래전략과는 다르게 선물거래전략은 그다지 특별한 건 없었던 것 같은데 정리해보겠습니다. 1) 기본개념 개인투자자인 저로써는 투기거래나 헤지거래 정도의 방법으로 선물을 거래할 것입니다. 이외에 차익거래라는 것도 있는데요. 이전 글에서 다룬 적이 있지만, 다시 한 번 각각을 정리해보자면투기거래: 제일 단순합니다. 그냥 선물을 사거나 파는 거래로 이득을 얻으려고 하는 겁니다.헤지거래: 현물시장(주식시장으로 생각하시면 편합니다)에서 제가 갖고 있는 포지션이 뜻대로 되지 않을 것을 대비해 (예를 들어 주식을 사둔 상태인데 혹시 주식이 떨어질까봐) 그걸 대비하기 위해 선물을 사는 거래차익거래: 현.. 2020. 7. 8.
파생상품 결제제도 지난 글에서는 증거금제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제 증거금을 납부하고 선물 등의 파생상품 거래를 시작했다고 합시다. 1) 일일정산(Daily Mark-to-Market) 일일정산이라는 용어는 파생상품시장에 관심 있는 분들은 들어보신 적 있을 겁니다. 저는 대체 일일정산이라는 것을 왜 해야할까에 대해 공부하면서 고민해봤는데요. 보통 만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즉, 만기까지 기다렸다가 돈 계산을 해야 한다면 정산해야 하는 돈의 크기가 커지므로 매일매일 나눠서 한다는 방식의 설명이죠. 제 생각에 일일정산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은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파생상품이라는 것은 행사가격(strike price), 만기(expiration date)로 크게 규정되는 상품입니다. 하지만 이 상품은 만.. 2020.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