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손절매2

리스크 관리-입문 이번 글은 리스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1) 최종거래일 결제방식- 선물거래 이 내용이 왜 갑자기 나왔는지 좀 아리송합니다. 아마도 선물거래를 할 때 기본적으로 내재된 위험에 대해 말하려고 했던 것 아닌가 해요. 어쨌든, 우리가 선물계약을 체결한 상태에서 최종거래일에 도달했을 때에 정산을 하는 방식이 있을 것입니다. 3월물이면 3월 둘째 주 목요일이 결제일입니다. 만약 목요일이 공휴일이면 조금 당겨지고요. 이때 결제방식은 현금결제방식과 실물인수도결제방식이 있다고 하는데요. 선물가격과 기초자산가격의 차이에 수량과 거래승수를 곱해서 현금화해서 결제해주는 방식이 현금결제, 주식 등의 실물을 직접 받으면서 결제대금을 수수하는 것이 실물인수도결제방식이라고 하더라고요. 흠.. 우리가 어떤 목적으로.. 2020. 6. 18.
왜 파생상품을? - 거래목적과 레버리지에 대해 사전교육 1차시 수업 들었던 내용 이어서 정리하겠습니다. 1) 투자목적에 대해 이제 거래가 대충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를 알았으니, 왜 거래하는 지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앞선 글의 예시를 생각하면 보통 저같은 개인투자자, 개미들은 주가 등의 상품가격의 예상되는 흐름이 있으니 이 '방향성'에서 이득을 보려고 할 것입니다. 이런 것을 투기거래(speculation)라고 하는데, 어감이 좀 별로에요. 제가 투기를 하고 있다니... 이외에 고급진 기법으로써 파생상품을 활용하는 경우는 헤지거래(hedging), 그리고 차익거래(arbitraging)가 있다고 합니다. 저같은 개미가 여유를 부리며 할 수 있는 기법은 아니니 대충 보고 넘어갈게요.- 헤지거래(Hedging): 쉽게 생각해서 제가 A 주식의.. 2020.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