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뢰딩거 방정식9 [양자역학 공부] (9) 퍼텐셜 장벽 문제 양자역학 독학 시리즈는 Coursera에서 볼 수 있는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의 박원장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이해한 대로 정리한, 일종의 강의록 느낌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foundations-quantum-mechanics/ 이번 글에서는 퍼텐셜 장벽(potential barrier) 문제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잡설 없이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다음 논의로 들어가기 위해 이제 슬슬 디랙의 브라-켓(bra-ket) 표시를 배워야 하거든요. 목차 문제의 정의 위키피디아에서 가져온 위의 그림에서 \(a\)만 \(L\)로 바꾸면 됩니다. 이외에는 퍼텐셜 계단 문제와 큰 차이가 없으나 결과는 무지하게 다.. 2023. 9. 2. [양자역학 공부] (8) 퍼텐셜 계단 문제 양자역학 독학 시리즈는 Coursera에서 볼 수 있는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의 박원장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이해한 대로 정리한, 일종의 강의록 느낌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foundations-quantum-mechanics/ 이번 글에서는 퍼텐셜 계단(potential step) 문제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또냐? 뭐가 다르냐? 계속 비슷한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 같죠? 저도 똑같이 생각했었어요! 좀 지겨워지더라구요. 그 질문에 대답이라도 해주시는 듯, 여태까지 봤던 우물 문제와 조화 진동자 문제와 다른 점이 무엇인지를 설명해주셨어요. 그러려면 사로잡힌 상태, 즉, 속박 상태(bound state)에.. 2023. 8. 31. [양자역학 공부] (7) 조화진동자 문제 양자역학 독학 시리즈는 Coursera에서 볼 수 있는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의 박원장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이해한 대로 정리한, 일종의 강의록 느낌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foundations-quantum-mechanics/ 이번엔 조화진동자 문제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고전역학의 조화진동자 문제 이런 용수철은 본 적 많으시죠? 이게 전형적인 조화진동자입니다. 조화진동자는 균형점을 기준으로 변위(displacement)가 생기면, 그 변위의 크기에 비례해서 되돌아가려는 힘인 복원력(restoring force)이 생기는 장치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훅의 법칙(Hooke's law) 기억나시나요.. 2023. 8. 31. [양자역학 공부] (6) 유한 퍼텐셜 우물 문제 - 2 양자역학 독학 시리즈는 Coursera에서 볼 수 있는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의 박원장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이해한 대로 정리한, 일종의 강의록 느낌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foundations-quantum-mechanics/ 전 글에 이어서 이 문제를 마무리 할 예정입니다. 여태까지 중에 가장 간단한 글로 마무리해볼까 해요! 뒤에도 계속 문제들이 도사리고 있다는 점이 무섭네요.. 앞선 글을 안 보시면 전혀 이해가 안 가실 테니, 꼭 읽고 오셔야 해요! [양자역학 공부] (5) 유한 퍼텐셜 우물 문제 양자역학 독학 시리즈는 Coursera에서 볼 수 있는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University of Col.. 2023. 8. 28. [양자역학 공부] (5) 유한 퍼텐셜 우물 문제 양자역학 독학 시리즈는 Coursera에서 볼 수 있는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의 박원장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이해한 대로 정리한, 일종의 강의록 느낌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foundations-quantum-mechanics/ 지난 번 글이 너무 길었으니 이번 글은 조금 짧게 가보려고 합니다. 지지난 시간에 다뤘던 무한 퍼텐셜 우물보다 현실적인 모델인 유한 퍼텐셜 우물입니다. 이전에는 우물벽을 넘어서는 전자가 존재할 수가 없었지만, 이젠 벽을 넘어서도 존재할 수도 있으려나요? 이전 글을 보지 않으면 이해가 어려우실 수 있으니 꼭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양자역학 공부] (3) 시간 비의존 슈뢰딩거 방.. 2023. 8. 28. [양자역학 공부] (4) 고유치 문제와 힐베르트 공간의 구성 양자역학 독학 시리즈는 Coursera에서 볼 수 있는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의 박원장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이해한 대로 정리한, 일종의 강의록 느낌입니다. https://www.coursera.org/learn/foundations-quantum-mechanics/ 지난 글에서 찾아낸 고유치(에너지)와 고유함수(파동함수)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보고, 이를 통해 힐베르트 공간에 대해 찍먹하는 공부였습니다. 목차 일반적인 고유치 문제에 대해 선형대수학을 공부해보신 분들이라면 고유치(혹은 고윳값) 문제 때문에 골머리 앓아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그래도 워낙에 중요한 내용이니까 자주 나오는 거겠죠? 여기서 또 만나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고유치 문제가.. 2023. 8. 2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