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탁증거금2

증거금제도 앞서 파생상품시장 개요에서 증거금에 대해 다뤘던 바 있습니다만 실제 투자자가 거래를 할 때에 증거금을 기준으로 거래를 하기 때문에(선물을 즉시 통째로 사거나 파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이건 진짜 잘 알아야 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공부하는 입장에서 이 부분이 제일 재미도 없고 안 와닿습니다. 하지만 실제 거래를 하게 되면 얼마만큼 더 돈을 계좌에 넣어줘야 하고(유지증거금) 얼마만큼의 돈으로 거래가 되고(개시증거금 혹은 위탁증거금) 하는 것은 너무나 중요합니다. 1) 개요 앞서 말씀드렸듯 만기일까지 투자자가 파생상품의 매수 혹은 매도 포지션을 유지한다고 가정한다면 거래소 입장에서는 투자자가 정말로 이에 따른 돈을 낼 수 있는지 궁금할 겁니다. 그 확인을 위한 보증금이 바로 증거금(margin)입니다. .. 2020. 7. 4.
수탁제도 및 매매제도 강의 5차시 내용입니다. 사실상 선물거래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습니다. 제도적인 측면이 강조된 내용이라서 저같은 개인투자자에게는 일종의 교양 같은 내용이 많아서 되도록 정리해서 적어보려고 합니다. 1) 기본개념 수탁제도라는 것은 선물거래가 선도(forward) 거래와 다르게 1:1로 진행되지 않고 회원사(증권사에 해당합니다)를 통해 거래소라는 곳에서 이루어진다는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흔히 선물/옵션 공부하다 보면 청산소(clearing house)라는 단어를 많이 보실 수 있는데요. 거래와 이에 따르는 결제 혹은 인수도를 정리해주는 역할을 이곳에서 하고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거래소 (KRX; Korea Exchange)에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거래를 할 때 우리는 증권사에 계좌를 개설하고.. 2020.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