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41 선물(Futures)의 기초개념 사전교육 2차시의 내용은 선물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앞에 이미 다룬 내용은 거르고 새로 공부한 것들에 대해 적어보았습니다. 1) 선물의 개념 정의는 이전에 간단히 다뤘지만 다시 정리합니다. 미래에 정해진 시점 (만기월의 둘째 주 목요일이라고 했었죠?)에 미리 정한 가격 (행사가격)으로 기초자산(underlying asset)을 사거나 팔아야 하는 의무가 부과되는 계약을 말합니다. 여기서 기초자산은 주식, 환, 금/돈육 등의 상품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입니다. 거래소를 통해 투자자는 현재 시점에서 상품의 가격변화를 예상하여 수익을 얻기 위해 이런 계약을 거래하게 됩니다. 선물(futures)을 다루는 데에 표준화(standardization)의 개념이 꽤 중요한가 봅니다. 어려운 개념은 아니고 그냥 일정하게.. 2020. 6. 18. 리스크 관리-입문 이번 글은 리스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1) 최종거래일 결제방식- 선물거래 이 내용이 왜 갑자기 나왔는지 좀 아리송합니다. 아마도 선물거래를 할 때 기본적으로 내재된 위험에 대해 말하려고 했던 것 아닌가 해요. 어쨌든, 우리가 선물계약을 체결한 상태에서 최종거래일에 도달했을 때에 정산을 하는 방식이 있을 것입니다. 3월물이면 3월 둘째 주 목요일이 결제일입니다. 만약 목요일이 공휴일이면 조금 당겨지고요. 이때 결제방식은 현금결제방식과 실물인수도결제방식이 있다고 하는데요. 선물가격과 기초자산가격의 차이에 수량과 거래승수를 곱해서 현금화해서 결제해주는 방식이 현금결제, 주식 등의 실물을 직접 받으면서 결제대금을 수수하는 것이 실물인수도결제방식이라고 하더라고요. 흠.. 우리가 어떤 목적으로.. 2020. 6. 18. 왜 파생상품을? - 거래목적과 레버리지에 대해 사전교육 1차시 수업 들었던 내용 이어서 정리하겠습니다. 1) 투자목적에 대해 이제 거래가 대충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를 알았으니, 왜 거래하는 지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앞선 글의 예시를 생각하면 보통 저같은 개인투자자, 개미들은 주가 등의 상품가격의 예상되는 흐름이 있으니 이 '방향성'에서 이득을 보려고 할 것입니다. 이런 것을 투기거래(speculation)라고 하는데, 어감이 좀 별로에요. 제가 투기를 하고 있다니... 이외에 고급진 기법으로써 파생상품을 활용하는 경우는 헤지거래(hedging), 그리고 차익거래(arbitraging)가 있다고 합니다. 저같은 개미가 여유를 부리며 할 수 있는 기법은 아니니 대충 보고 넘어갈게요.- 헤지거래(Hedging): 쉽게 생각해서 제가 A 주식의.. 2020. 6. 16. 파생상품의 정의와 종류, 증거금에 대해 교육 1차시를 이수하였습니다. 그런데 이게 하도 오랜만에 이 내용을 봐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이미 기초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건지 아예 초짜들을 대상으로 하는 건지 애매할 정도의 수준으로 강의를 해주시네요. 따로 공부를 하지 않으면 따라가기가 어렵더라구요. 아예 강의 내용을 통째로 배껴올 수는 없으니 얼추 배운 걸 잘 풀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정의와 종류 제가 거래를 해볼까 하는 상품은 선물과 옵션입니다. 제가 알기로, 선물(futures)은 미래에 정해진 가격으로 주식 등의 상품을 사겠다는 계약이고, 옵션(options)이라는 것은 미래에 정해진 가격으로 주식 등의 상품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얻는 계약입니다. 정해진 가격을 행사가격이라고 하는데, 상식적으로 더 웃돈을 주고 사겠.. 2020. 6. 16. 파생상품 투자를 위한 사전교육 저는 개인적으로 주식 투자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실제 있는 회사에 작은 금액이나마 투자를 하고 투자에 대한 보답으로 회사 수익의 일부를 배당금으로 받고 이러는 과정이 저는 더 좋더라구요. 선물/옵션으로 흔히 대표되는 파생상품시장은 이에 비하면 신기루 같은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미래의 정해진 시점에 계약한 가격 대로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선물/옵션 등의 파생상품은 투자라기 보다는 시장 바깥에서 있는 투자자들 간의 베팅 같은 느낌이거든요. 사실 저만의 생각이 아닐 겁니다. 그래도 굳이 제가 이 포스팅을 쓰고 파생상품을 공부하려는 이유는, 자본금융시장의 구성요소의 큰 부분인 파생상품시장과 그에 포함되는 도구들을 모르는 상태에서 시장상황을 잘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도 어려울 것이고, 파생상품.. 2020. 6. 15.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