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트래들6

선물옵션 실전노트 (8) 만기수익곡선 그리기 이 글은 금융상품의 투자를 다루고 있지만 투자 권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 아닙니다. 투자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책임이 있답니다. [투자/파생상품 입문] - 옵션거래 기본전략(1) [투자/파생상품 입문] - 옵션거래 기본전략(2) 합성포지션 이전 글부터 읽어오신 분이라면 제가 추천드린 대로 직접 해보셨을 지 궁금하고 이 글로 제 글을 처음 접하는 분들은 꼭 해보셨으면 하는 마음에서 이 글을 적어봅니다. 저는 이전의 기초 관련 내용을 공부하면서도 정말 중요한 것 같다, 꼭 직접 해봐야 한다 하면서 만기수익곡선을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이걸 안 해보고 옵션 투자전략을 글로만 보고 뛰어드는 것은 위험할 수 있고 더 복잡한 합성 포지션들을 이해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으며 더 나아가 만기가 아닌 시점에서의 수익곡선.. 2021. 10. 7.
선물옵션 실전노트 (7) 양매도의 기본개념 이 글은 금융상품의 투자를 다루고 있지만 투자 권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 아닙니다. 투자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책임이 있답니다. 이전 글에 이어서 오늘은 양매도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양매도는 선행조건이 있습니다. 증거금이 일정 수준 이상 되어서 옵션을 매도할 수 있는 자격이 있어야 수립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이건 증권사별로 책정한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각 증권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거나 증권사에 직접 문의해야 합니다) 옵션을 매도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수행할 수가 없습니다. 이외에는 양매도를 정확히 양매수의 정반대로 이해해야 편합니다. 그래서 구성도 되도록 유사하게 준비했습니다. 차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양매도란 무엇인가? 무엇을 양매도라 하는가? 2. 양매도를 왜 하는가? 3. 양매도를.. 2021. 10. 5.
선물옵션 실전노트 (6) 양매수의 기본개념 이 글은 금융상품의 투자를 다루고 있지만 투자 권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 아닙니다. 투자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책임이 있답니다. 제가 이전 글에서 제 블로그에 가장 많이 유입되는 검색어/주제 관련하여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투자/파생상품 실전] - 선물옵션 실전노트 (0) Kelly's criterion에 대해 선물옵션 실전노트 (0) Kelly's criterion에 대해 이 글은 금융상품의 투자를 다루고 있지만 투자 권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 아닙니다. 투자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책임이 있답니다. 파생상품 거래에 대한 관심의 증가 제 블로그는 사진도 sgsrvilla.tistory.com 최근 제가 애플워치를 분해했던 후기를 적은 글이 아직도 많이 유입되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옵션 거래 관련 글.. 2021. 10. 4.
선물옵션 실전노트 (1) 헷징에 대해 이 글은 금융상품의 투자를 다루고 있지만 투자 권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 아닙니다. 투자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책임이 있답니다. 헷징에 대해서는 다른 여러 글에서도 다룬 바 있으니 기본개념 따위는 설명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노트니까 간단하게! [투자/파생상품 입문] - 왜 파생상품을? - 거래목적과 레버리지에 대해 [투자/파생상품 입문] - 리스크 관리-입문 [투자/파생상품 입문] - 옵션거래 기본전략(3) 헤지거래 등 [투자/주식 공부] - 공매도 사전교육 요약 (1) 공매도 기본개념 헷징이라는 것을 실전적으로 어떻게 이해하면 좋은지 설명해보겠습니다. 헷징을 진짜 하기는 하는가? 물론입니다. 헷징은 선물옵션 시장에서 정말 약방의 감초같은 존재입니다. 헷징없는 거래는 정말 위험하고 답이 없습니다. 헷.. 2021. 9. 3.
옵션기초공부 (9) 스트래들/스트랭글 옵션공부 조금 하신 분들이라면, 혹은 파생 시장을 공부해본 분들이라면 양매수/양매도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양매수라는 것은 콜과 풋을 동시에 사는 것, 양매도라는 것은 콜과 풋을 동시에 파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행사가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습니다. 이런 전략은 변동성이 어떠냐를 예상하고 세우게 되는데요. 양매수는 보통 변동성이 커지리라고 예상해서 상방이든 하방이든 기초자산가격이 움직이기만 하면 수익이 발생하도록 수립하는 전략입니다. 반대로 양매도는 변동성이 거의 없이 횡보할 것으로 예상이 될 때에 시간가치감소를 고려해서 프리미엄이 바닥을 치게 되리라고 예상하고 수립하는 전략입니다. 스트래들(straddle)과 스트랭글(strangle)은 이럴 때에 생각하게 되는 전략입니다. 스트랭글은 .. 2021. 3. 17.
옵션거래 기본전략(2) 합성포지션 이전 글에 이어서 옵션투자전략을 다루겠습니다. 이번부터는 조금 더 복잡해져서 옵션의 '합성'을 거래하는 전략을 공부했습니다. 앞선 글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꼭 손익그래프를 직접 그려보셔야 합니다. 합성포지션 거래는 각 포지션(옵션의 매수/매도)의 손익그래프를 합한 것에 불과합니다. 2) 스프레드 거래 이제부터 합성을 시작합니다. 일반 개인투자자가 굳이 안 하려고 하고 잘 모를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이 옵션들의 합성을 거래하는 것이지 않을까 합니다. 뭐, 기대수익이 그만큼 제한적이라서 그런 부분도 있긴 합니다만 위험성이 훨씬 낮아지기 때문에 합성을 어느 정도는 해주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스프레드 거래에는 만기, 행사가격을 어떻게 두느냐에 따라 2가지로 크게 나뉩니다.수직적 스프레드(Vertical .. 2020.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