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합성포지션4

옵션기초공부 (9) 스트래들/스트랭글 옵션공부 조금 하신 분들이라면, 혹은 파생 시장을 공부해본 분들이라면 양매수/양매도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양매수라는 것은 콜과 풋을 동시에 사는 것, 양매도라는 것은 콜과 풋을 동시에 파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행사가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습니다. 이런 전략은 변동성이 어떠냐를 예상하고 세우게 되는데요. 양매수는 보통 변동성이 커지리라고 예상해서 상방이든 하방이든 기초자산가격이 움직이기만 하면 수익이 발생하도록 수립하는 전략입니다. 반대로 양매도는 변동성이 거의 없이 횡보할 것으로 예상이 될 때에 시간가치감소를 고려해서 프리미엄이 바닥을 치게 되리라고 예상하고 수립하는 전략입니다. 스트래들(straddle)과 스트랭글(strangle)은 이럴 때에 생각하게 되는 전략입니다. 스트랭글은 .. 2021. 3. 17.
옵션기초공부 (8) 스프레드 - 하락장 예상 시 이전 내용에 이어 하락장 예상 시, 즉 베어 마켓(bear market) 예상이 될 때에 스프레드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불 스프레드와 마찬가지로 콜옵션으로도, 풋옵션으로도 구성 가능합니다. 차이는 흑자(credit)이냐, 적자냐(debit)겠죠. [투자/파생상품 기초] - 옵션기초공부 (7) 스프레드 - 기본개념과 상승장 예상 시 [투자/파생상품 입문] - 옵션거래 기본전략(2) 합성포지션 베어 스프레드 전략 약세장이 예상될 때 흑자스프레드는 콜옵션으로, 적자스프레드는 풋옵션으로 구성가능합니다. 불 스프레드 때와 마찬가지로 일단 돈을 받고 시작하겠다는 마음으로 흑자스프레드를 구성할 수도 있지만 확실하게 방향만 맞아주면 적자스프레드의 위력도 대단합니다. 베어 콜 스프레드 (bear call spread) .. 2021. 3. 17.
옵션기초공부 (7) 스프레드 - 기본개념과 상승장 예상 시 이전까지 책에서 공부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제부터 합성포지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옵션거래는 네이키드냐 합성이냐로 나눌 수 있을 정도로 합성은 큰 영역입니다. 여태까지 배운 콜옵션과 풋옵션의 매수는 네이키드 (naked; 헤지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한 방향으로는 수익, 다른 방향으로는 손실이 나는 포지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상태였고 이제부터 다룰 스프레드와 다음 시간에 다룰 스트랭글, 스트래들 등은 전부 합성포지션입니다. 합성이라는 의미는 한 포지션을 구성하는 옵션의 '종류'가 매수/매도 포함해서 여러가지라는 의미인데요. 여기서 '종류'는 행사가에 의해 달라질 수도 있고 콜/풋의 차이에 의해 달라지게 됩니다. 정말 기본적인 내용은 이전에 올린 글을 참조해주세요 [투자/파생상품 입문] - 옵.. 2021. 3. 14.
옵션거래 기본전략(2) 합성포지션 이전 글에 이어서 옵션투자전략을 다루겠습니다. 이번부터는 조금 더 복잡해져서 옵션의 '합성'을 거래하는 전략을 공부했습니다. 앞선 글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꼭 손익그래프를 직접 그려보셔야 합니다. 합성포지션 거래는 각 포지션(옵션의 매수/매도)의 손익그래프를 합한 것에 불과합니다. 2) 스프레드 거래 이제부터 합성을 시작합니다. 일반 개인투자자가 굳이 안 하려고 하고 잘 모를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이 옵션들의 합성을 거래하는 것이지 않을까 합니다. 뭐, 기대수익이 그만큼 제한적이라서 그런 부분도 있긴 합니다만 위험성이 훨씬 낮아지기 때문에 합성을 어느 정도는 해주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스프레드 거래에는 만기, 행사가격을 어떻게 두느냐에 따라 2가지로 크게 나뉩니다.수직적 스프레드(Vertical .. 2020. 7. 13.